- Published on
zustand 뜯어보기
- Authors
- Name
- Kim Hyori
들어가며
3월에 리액트로 클로저, 훅, 컨텍스트 API를 통해 직접 상태 관리를 구현해보고,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들은 어떤 식으로 구현되어 있는지 대략적으로 살펴봤었다. (이전 글 보기)
최근에 모두의텃밭이라는 서비스를 개발하게 되면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로 zustand
를 사용하게 되었다. store를 작성하고 사용하는 게 굉장히 쉬워서 어떻게 상태 관리 시스템이 구현되어 있는지 궁금해졌다. 이번 글에서는 zustand
코드를 하나하나 뜯어보면서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한다.
zustand 작성 방법
zustand
를 작성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import { create } from 'zustand'
const useBearStore = create((set) => ({
bears: 0,
increasePopulation: () => set((state) => ({ bears: state.bears + 1 })),
removeAllBears: () => set({ bears: 0 }),
updateBears: (newBears) => set({ bears: newBears }),
}))
먼저 create
함수를 사용하여 상태를 생성한다. create
함수는 함수를 인자로 받는다. 이 함수는 set
함수를 인자로 받아서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create
함수의 반환값으로 스토어 훅을 반환한다. 이 훅을 사용하여 상태를 관리하면 된다.
function Component() {
const bears = useBearStore((state) => state.bears)
const increasePopulation = useBearStore((state) => state.increasePopulation)
const removeAllBears = useBearStore((state) => state.removeAllBears)
const updateBears = useBearStore((state) => state.updateBears)
return (
<div>
<h1>{bears}</h1>
<button onClick={increasePopulation}>Increase</button>
<button onClick={removeAllBears}>Remove All</button>
<button onClick={() => updateBears(10)}>Update</button>
</div>
)
}
만든 useBearStore 훅에 selector 함수를 인자로 넣어서 상태를 가져올 수 있다. selector로 가져오는 값이 변경할 때에만 리렌더링이 된다. 그럼 이제 zustand
가 어떻게 리렌더링을 막고, 상태를 클로저로 관리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zustand 코드 살펴보기
코드 전체 살펴보기
상태를 관리하는 코드들만 모아서 가져와봤다. 작성일 기준 4.5.2 버전의 코드이다.
const createStoreImpl: CreateStoreImpl = (createState) => {
type TState = ReturnType<typeof createState>
type Listener = (state: TState, prevState: TState) => void
let state: TState
const listeners: Set<Listener> = new Set()
const setState: StoreApi<TState>['setState'] = (partial, replace) => {
const nextState =
typeof partial === 'function'
? (partial as (state: TState) => TState)(state)
: partial
if (!Object.is(nextState, state)) {
const previousState = state
state =
replace ?? (typeof nextState !== 'object' || nextState === null)
? (nextState as TState)
: Object.assign({}, state, nextState)
listeners.forEach((listener) => listener(state, previousState))
}
}
const getState: StoreApi<TState>['getState'] = () => state
const getInitialState: StoreApi<TState>['getInitialState'] = () =>
initialState
const subscribe: StoreApi<TState>['subscribe'] = (listener) => {
listeners.add(listener)
return () => listeners.delete(listener)
}
const destroy: StoreApi<TState>['destroy'] = () => {
if (import.meta.env?.MODE !== 'production') {
console.warn(
`[DEPRECATED] The `destroy` method will be unsupported in a
future version. Instead use unsubscribe function returned by subscribe.
Everything will be garbage-collected if store is garbage-collected.`,
)
}
listeners.clear()
}
const api = { setState, getState, getInitialState, subscribe, destroy }
const initialState = (state = createState(setState, getState, api))
return api as any
}
export const createStore = ((createState) =>
createState ? createStoreImpl(createState) : createStoreImpl) as CreateStore
export function useStore<TState, StateSlice>(
api: WithReact<StoreApi<TState>>,
selector: (state: TState) => StateSlice = identity as any,
equalityFn?: (a: StateSlice, b: StateSlice) => boolean,
) {
if (
import.meta.env?.MODE !== 'production' &&
equalityFn &&
!didWarnAboutEqualityFn
) {
console.warn(
"[DEPRECATED] Use `createWithEqualityFn` i...",
)
didWarnAboutEqualityFn = true
}
const slice = useSyncExternalStoreWithSelector(
api.subscribe,
api.getState,
api.getServerState || api.getInitialState,
selector,
equalityFn,
)
useDebugValue(slice)
return slice
}
const createImpl = <T>(createState: StateCreator<T, [], []>) => {
if (
import.meta.env?.MODE !== 'production' &&
typeof createState !== 'function'
) {
console.warn(
"[DEPRECATED] Passing ...",
)
}
const api =
typeof createState === 'function' ? createStore(createState) : createState
const useBoundStore: any = (selector?: any, equalityFn?: any) =>
useStore(api, selector, equalityFn)
Object.assign(useBoundStore, api)
return useBoundStore
}
export const create = (<T>(createState: StateCreator<T, [], []> | undefined) =>
createState ? createImpl(createState) : createImpl) as Create
코드가 굉장히 길고 복잡해보인다. 하나씩 단계별로 살펴보도록 한다.
create
const useBearStore = create((set) => ({
bears: 0,
increasePopulation: () => set((state) => ({ bears: state.bears + 1 })),
removeAllBears: () => set({ bears: 0 }),
updateBears: (newBears) => set({ bears: newBears }),
}))
처음에 우리가 create 함수를 호출해 훅을 만들었었다.
export const create = (<T>(createState: StateCreator<T, [], []> | undefined) =>
createState ? createImpl(createState) : createImpl) as Create
우리는 createState(setter를 인자로 받고, state를 반환하는 함수)를 create에 전달해주었다. createState를 전달했으므로 createImpl 함수를 호출하게 된다.
const createImpl = <T>(createState: StateCreator<T, [], []>) => {
if (import.meta.env?.MODE !== 'production' && typeof createState !== 'function') {
console.warn('[DEPRECATED] Passing ...')
}
const api = typeof createState === 'function' ? createStore(createState) : createState
const useBoundStore: any = (selector?: any, equalityFn?: any) =>
useStore(api, selector, equalityFn)
Object.assign(useBoundStore, api)
return useBoundStore
}
여기서 나오는 api, createStore, useStore가 중요하다.
먼저 api에 createStore를 호출하여 반환 받은 값을 저장해주는데, createStore는 말 그대로 클로저 상태를 생성해 반환하는 함수다.
createStore
클로저 상태를 생성해 반환하는 함수
export const createStore = ((createState) =>
createState ? createStoreImpl(createState) : createStoreImpl) as CreateStore
createStore에서도 createState가 존재한다면 createStoreImpl 함수를 호출하게 된다. createStoreImpl는 저번 글에서 구현한 createStore와 굉장히 유사하게 작성되어 있다.
const createStoreImpl: CreateStoreImpl = (createState) => {
type TState = ReturnType<typeof createState>
type Listener = (state: TState, prevState: TState) => void
let state: TState // state를 클로저로 관리
const listeners: Set<Listener> = new Set() // 콜백 함수들을 저장. 여기서는 리스너라고 부름
// partial은 일부분만 변경하고 싶을 때, replace는 전체를 변경하고 싶을 때 사용
const setState: StoreApi<TState>['setState'] = (partial, replace) => {
const nextState =
typeof partial === 'function' ? (partial as (state: TState) => TState)(state) : partial
if (!Object.is(nextState, state)) {
const previousState = state
state =
replace ?? (typeof nextState !== 'object' || nextState === null)
? (nextState as TState)
: Object.assign({}, state, nextState)
listeners.forEach((listener) => listener(state, previousState)) // 콜백 호출을 통해 상태 변경을 알림.
}
}
const getState: StoreApi<TState>['getState'] = () => state // 최신 상태의 state를 반환
const getInitialState: StoreApi<TState>['getInitialState'] = () => initialState // 초기 state를 반환
const subscribe: StoreApi<TState>['subscribe'] = (listener) => {
listeners.add(listener) // 구독
return () => listeners.delete(listener) // 클린업 함수로 구독 해제하는 함수 반환
}
const destroy: StoreApi<TState>['destroy'] = () => {
if (import.meta.env?.MODE !== 'production') {
console.warn(`대충 경고 메시지`)
}
listeners.clear()
}
// api에 setState, getState, getInitialState, subscribe, destroy를 저장
const api = { setState, getState, getInitialState, subscribe, destroy }
const initialState = (state = createState(setState, getState, api))
return api as any
}
여기서 보면 알 수 있듯이 state를 let으로 선언해 클로저로 관리하고 있다. setState는 우리가 increasePopulation: () => set((state) => ({ bears: state.bears + 1 }))
로 setter 메서드를 작성할 때 set 함수를 말한다.
처음에 initialState와 state에는 createState를 호출한 값, 즉 { bears: 0, increasePopulation: () => set((state) => ({ bears: state.bears + 1 })), ... }
가 저장된다. 또한 api에 setState, getState, getInitialState, subscribe, destroy를 저장한 후 반환한다.
이 createStore는 vanills.ts
에 구현되어 있는데, 어떤 프레임워크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const api =
typeof createState === 'function' ? createStore(createState) : createState
const useBoundStore: any = (selector?: any, equalityFn?: any) =>
useStore(api, selector, equalityFn)
Object.assign(useBoundStore, api)
return useBoundStore
다시 돌아와서, useBoundStore는 selector와 equalityFn을 매개변수로 받는다. 우리가 useBearStore((state) => state.bears)
를 작성했을 때, (state) => state.bears
가 바로 selector이다. 이 함수는 또 useStore를 호출한 결과를 반환한다.
useStore
리액트 내에서 리렌더링을 유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훅
export function useStore<TState, StateSlice>(
api: WithReact<StoreApi<TState>>,
selector: (state: TState) => StateSlice = identity as any,
equalityFn?: (a: StateSlice, b: StateSlice) => boolean
) {
if (import.meta.env?.MODE !== 'production' && equalityFn && !didWarnAboutEqualityFn) {
console.warn('[DEPRECATED] Use `createWithEqualityFn` i...')
didWarnAboutEqualityFn = true
}
const slice = useSyncExternalStoreWithSelector(
api.subscribe,
api.getState,
api.getServerState || api.getInitialState,
selector,
equalityFn
)
useDebugValue(slice)
return slice
}
const bears = useBearStore((state) => state.bears)
를 작성했을 때, bears는 useStore의 반환값이 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useSyncExternalStoreWithSelector 훅을 사용하고 있는데(이름부터 무척 길다.) 아마 useSyncExternalStore를 확장해 만든 훅인 것 같다.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따로 import 되지 않아서 공식 지원을 하는 건지 정보를 검색해봤는데, 사실 자세하게 찾진 못했다. 아무튼 외부 상태를 동기화하는 훅으로, slice는 selector를 통해 가져온 값이다.
또한 useDebugValue를 통해 slice를 디버깅할 수 있게 해준다. React 개발자 도구에서 Store: slice를 확인하기 위해 넣은 것 같다.
더 쉽게 요악해보기
살펴보니 알 것도 같고, 모르는 것도 많은 것 같다. 그래서 순서대로 다시 쉽게 요약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create
함수를 호출하여 상태를 생성한다.
const useBearStore = create((set) => ({
bears: 0,
increasePopulation: () => set((state) => ({ bears: state.bears + 1 })),
removeAllBears: () => set({ bears: 0 }),
updateBears: (newBears) => set({ bears: newBears }),
}))
create
는createStore
를 통해 클로저 상태에 대한 함수를 생성하고,useBoundStore
를 반환한다. 예제에서 useBearStore = useBoundStore이다.
createStore
는 getState, setState, subscribe 등 api를 반환한다. 여기서 setState는 create에 전달한 콜백 함수의 반환값에 있는 setter 메서드들을 호출할 때 실행되며,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예제에서는 setter 메서드로 increasePopulation, removeAllBears, updateBears가 있다.useBoundStore
는useStore
를 호출한다. useStore를 통해 외부 상태를 동기화하고, 값이 변화할 때(=setState가 실행될 때) 리렌더링을 유발한다. slice로 원하는 값을 가져올 수 있다.
- 사용자가 useBearStore에 셀렉터 함수를 담아 호출한다.
const bears = useBearStore((state) => state.bears)
useStore
에서useSyncExternalStoreWithSelector
에 api, selector 등을 전달해 slice를 반환한다. 예제에서 slice = bears 값이다.bears 값이 변할 때마다 리렌더링이 일어난다.
zustand의 장점
zustand
는 번들포비아에서 봤을 때, 번들 사이즈가 3.1KB로, recoil
이나 zotai
보다 더 가볍다. 사용 방법뿐만 아니라 용량에서도 굉장히 효율적인 라이브러리라고 할 수 있다.
마치며
zustand
가 어떤 식으로 구현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에는 useSyncExternalStoreWithSelector
를 비슷하게 구현하여 최소한의 zustand
라이브러리를 만들어보려고 한다.